[Algorithm 풀이] 백준 - 2206번 벽 부수고 이동하기
Algorithm/Algorithm 풀이2023. 3. 16. 16:40[Algorithm 풀이] 백준 - 2206번 벽 부수고 이동하기

대표적인 bfs 응용 문제인 것 같아서 풀이를 가져왔다! 백준 GOLD 3 문제이며, 반드시 알고 가야할 부분 인 것 같아서 정리해본다! 🌟 문제 N×M의 행렬로 표현되는 맵이 있다. 맵에서 0은 이동할 수 있는 곳을 나타내고, 1은 이동할 수 없는 벽이 있는 곳을 나타낸다. 당신은 (1, 1)에서 (N, M)의 위치까지 이동하려 하는데, 이때 최단 경로로 이동하려 한다. 최단경로는 맵에서 가장 적은 개수의 칸을 지나는 경로를 말하는데, 이때 시작하는 칸과 끝나는 칸도 포함해서 센다. 만약에 이동하는 도중에 한 개의 벽을 부수고 이동하는 것이 좀 더 경로가 짧아진다면, 벽을 한 개 까지 부수고 이동하여도 된다. 한 칸에서 이동할 수 있는 칸은 상하좌우로 인접한 칸이다. 맵이 주어졌을 때, 최단 경로를 구..

Algorithm/Algorithm 개념2022. 8. 24. 18:52[Algorithm 개념] DFS / BFS

1. DFS (Depth-First-Search) 스택 자료 구조 이용하거나 재귀 함수를 이용. 1. 탐색 시작 노드를 스택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를 합니다. 2. 스택의 최상단 노드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한 노드가 하나라도 있으면 그 노드를 스택에 넣고 방문 처리함. 방문하지 ㅇ낳은 인접 노드가 없으면 스택에서 최상단 노드를 꺼냅니다. 3. 더 이상 2번의 과정을 수행할 수 없을 때 까지 반복. #DFS 메소드 정의 def dfs(graph, v, visited): visited[v] = True print(v, end = '') #현재 노드와 연결된 다른 노드를 재귀적으로 방문 for i in graph[v]: if not visited[i]: dfs(graph, i, visited) #각 노드가 연결된..

image